%% 쓰다보니 길어져서 나누어 써야 할듯 합니당.. 사진이 없는게 아쉽네여
3월 13일날은 수연선배가 14일날은 제가 다녀왔습니다.
A트랙은 web2.0
B트랙은 모바일 쪽이었슴다.
저는 물론 A트랙만 들었습니다.
섹션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오늘은 첫번째 섹션에 대해서만 다루겠습니다.
# 포탈 & web2.0
# web2.0 ecosystem
# web2.0 application
Next Generation Web International Conference 2006
NGWeb 2006 – “WEB 2.0 + MOBILE”
장소 : 코엑스
# 포탈 & web2.0
- 네이버(검색api 공개)
우리가 api를 오픈할테니 여러분들이 독창적인 mashup(혼합)서비스를 개발해 달라
공개할 api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방식이고 야후api와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웹2.0 전략을 설명해 달라고 했더니 api오픈에 대해서만 장황하게 설명한다.
결론은 우리는 할만큼 하고 있다. 징징거리지 말라 모 그런듯..
주석)
REST는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아키텍처로서
등록저장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URL 을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ajax가 훌륭한 도구이다. SOAP와 대비된다.
SOAP는 확장성 생성 언어(XML)와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등을 기반으로 하여
다른 컴퓨터에 있는 데이터나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통신 규약.
마이크로소프트사와 유저랜드 소프트웨어(UserLand Software)사, 디벨롭멘터(Developmentor)사가 중심이 되어 개발하였다.
- 다음(데이터 마이닝)
다음이 주목하는 web2.0은 collective intelligence(집단지성)이다.
신지식 카페검색의 결과는 자기들도 놀랍다.
데이터는 이미 넘쳐난다 data mining(데이터 재가공)이 중요하다
예 하나)네티즌의 선택 : 2차 검색어를 연관시킨다.
어떤 사람은 첫 검색어가 다음이고 두번째가 다음카페, 어떤 사람은 첫검색어가 다음이고 두번째가 다음검색
이 데이터를 이용해 누군가 다음을 검색하면 다음카페랑 다음검색이라는 키워드를 보여주는 방식
예 둘) 쇼핑 추천구매 : 쇼핑 사용자의 구매행태
대체재와 보완재 recommendation(추천)
노트북을 검색했을때 다른 노트북을 보여주는게 대체재
노트북 가방등을 보여주는게 보완재
예 셋) 지역-IP타겟팅
다음 유저의 로그인 아이피와 d&shop의배송정보를 결합하여 지역을 찾아냄
지역정보 시티에서 지역광고등에 활용
web2.0에 대해 말하라고 했더니 data mining에 대한 자기네 자랑만 한다.
서두에 말했던 집단지성은 실종했다.
- 코스인사이드(태그기반의 온라인 서재 오픈유어북)
이곳은 포탈이 아니라 개인이 만든 서비스인데.. 중간에 끼었다. 왜그랬을까?
순전히 개인이 책읽기를 좋아해서 자기가 읽었던 책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둘수는 없을까 해서 만들었단다.
일단 빵모자 쓴 아저씨가 약간의 사투리 억양과 함께 아무튼 재밌고 흥미롭다.
블로그를 기반으로 독서관리를 할수 있는데 간단히 말하면 개인서재..
태그를 사용해서 분류와 공유를 한다..
여기서 책을사면 세계빈곤아동에게 기부도 할수 있다.
http://openyourbook.net
주석)
TAG(꼬리표) 사용자가 분류를 직접하는 웹2.0의 대표적인 키워드이다.
- 야후(FUSE)
이 아줌마 현모양처 얘기하면서 우와하게 영어 섞어가면서 이런저런 얘기하는데.. 무슨말인지 모르겠다.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웹에서 서치비중이 이상하게 많단다. 미국은 아직도 mail이 젤 많은데..
미국에 더 오래 있었나부다 한국보다.. 그러니 왜 그런지 머리로 잘 이해가 안가는듯..
FUSE(find use share expand) 이단어를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지만..
모 검색 잘하라는 얘기 같다.
웹2.0과는 몬 관계가 있으리라고 짐작만 할수 있다.
- 파란(엠박스)
서비스 홍보하러 나왔다.
발표자가 쩜 웃기려고 하는데 내공이 넘 부족해서 헛웃음만 나온다.
개발자랑 디자이너 대동하고 왔는데 개발자가 대박이다. 엘레강스한 개발자란다.
mvc모델 설명하는데 앙드레김인줄 착각했다.
엠박스 멀티미디어 박스라는데 유무선 연동된다는거 빼고 진부하다.
동영상 미니홈피라고 하면 딱..!!!
- SK(태깅)
그나마 개념이 잡힌 유일한 포털 사람인듯 하다.
웹 2.0에 대해 나름대로 연구 마니 했다.
웹2.0의 여러 키워드들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Ajax, widget, Folksonomy(Tagging), open api,rss, atom
등이 결국은 웹을 하나의 ecosystem(생태계) 플랫폼으로 만들었다.
Long Tail(긴꼬리 이론)이나 컨텐츠 소비의 피라미드 이론에서 중요한것은 유통채널로서의 위치다
그 채널의 중요한 도구로써 tag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tag에도 한계가 있는데 너무 주관적이고 펼쳐져서 쓸만한 데이터를 만들기가 쉽지 않고
무엇보다 이용자가 신경써서 태그 붙이는게 쉽지 않다.
자발성에 reward를 주어야 merit가 있다.
주석)
- Atom 표준화 신디케이션 포멧을 정의하는 것뿐이 아니라 xml, soap에 기반한 웹서비스방식으로 컨텐츠
관리 프로토콜까지 정의하고 있다.
- long Tail : 인터넷에서는 작은것들이 영향력을 가질수 있다.
긴꼬리 영역은 끝없이 길기 때문에 개인화 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면 사업모델 될 수 있을 것
- 컨텐츠 소비의 피라미드 : 1명이 컨텐츠 생산하면 10명이 그걸 유통하고 1000명은 그걸 소비한다.
# web2.0 ecosystem
- 이글루스
- 엔비(photo2.0)
- 올라웍스(자동태깅,spot)
- 윙버스(Travel 2.0)
# web2.0 application
- 한컴(thinkfree)
- 오피니티(평판)
- 블로그칵테일(올블로그)
- 태터앤컴퍼니(태터툴즈)
Related Posts
Comments
Powered by Facebook Comments
저는 모바일쪽을 주로 들었는데. 그닥 영양가는 없었슴다.
재관씨 정리 끝나시면 자료집 빌려주세요. 저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