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에서 재밌는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네이버를 이길수 있는 길은 검색을 따라잡는거다 라는 기치 아래.. 검색강화를 위해 동분서주 했던 다음이 기술적인 측면의 강화라기 보다는 이름에서도 알수 있듯이.. 이벤트나 서비스쪽으로 그 가닥을 잡은걸까요? 쇼가 쇼로 끝나지 않으려면 이용자들에게 불편이 없고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어야 … Continue reading
asp에서 utf-8 쓰기
2007년 10월6일 전주, 선영결혼식
블로그코리아, 영향력 지수 서비스 개시
그동안 정확한 공개를 꺼려했던 블로그 코리아의 영향력지수 라는거에 대한 언급이 있었습니다. 생산력지수, 인기지수, 커뮤니케이션 지수를 종합하여 만드는 것이었군여.. 생산력지수는 포스팅을 얼마나 하느냐, 인기지수는 조회수나 추천수, 커뮤니케이션지수는 댓글이나 트랙백등이 얼마나 달리느냐 모 이런 뜻이랍니다. 나름대로 블로그랭킹을 어떻게 만들 것인거에 대한 고민이 … Continue reading
“지도가 길거리를 보여주네!”
구글 스트리트뷰를 따라한 서비스가 우리나라에도 등장했습니다. 따라하기가 무조건 나쁜건 아니라는걸 이 서비스에서 느낍니다. 어떤 타이밍에 어떤 네티즌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느냐가 관건이 아닐까여..? 개인 소프트웨어 개발팀이 대량의 디비구축은 어려울것이라 보여집니다. 따라서 네티즌이 직접 사진을 올릴수 있게하는걸 개발중이라는건 어쩔수 없는 선택인듯 합니다. … Continue reading
2007년 9월 25일 추석때
웹 서비스에서 초딩은?
보통 초딩하면 개념없이 악플이나 욕을 하는 네티즌들을 비하하여 쓰곤 합니다. 하지만 실제 초딩들은 우리들이 생각하듯 인터넷을 서핑하면서 댓글달고 놀지는 않는듯 합니다. 넥슨의 케주얼 게임들을 주로 즐기고 좀 고학년 초딩들은 싸이질을 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렇다면 웹서비스에서 초딩들이 할수 있는건 네이버의 쥬니버나 … Continue reading
파이썬 에러메시지 보기
랜카드 속도 설정하기
이제 뉴스도 네티즌이 편집한다 – 오마이뉴스 개편
“모든 시민이 기자다” 라는 모토로 시작된 오마이 뉴스가.. “이제 뉴스도 네티즌이 편집한다”라는 주제로 개편을 한다고 합니다. 미국의 딕닷컴을 모델로 한다고 하는데여.. 이미 오마이 뉴스는 네티즌 편집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조회수, 댓글수 , 원고료순, 스크랩순으로 말이져.. 딕닷컴을 모델로 한다면 여기에 추천개념이 도입되는 …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