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서비스가 있어서 소개한다. “어떤 웹 사이트에 있든 별도로 로그인하거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채팅을 할 수 있는 신개념 서비스가 선보인다.” 로그인 하지 않고 프로그램 설치하지 않고 채팅한다는건 그리 새로운 컨셉은 아니지만 다른 사이트를 띄어놓고 채팅을 즐길수 있다는게 독특하다. 아직 … Continue reading
Category Archives: 북마크
네이버 “뉴스 편집권, 언론사와 공유”
“네이버 뉴스 서비스에서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사가 일정 수준 편집권을 행사 할 수 있도록 사이트에 각 사별로 독자 공간을 제공할 계획” “NHN은 사용자가 네이버 사이트의 기사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의 웹사이트로 화면이 넘어가게 하는 ‘아웃링크’제도도 고려하고 있다고” 포털이 변하고 있나? 뉴스 독점 … Continue reading
`신문·방송·인터넷 결합은 필연`
신문사 인터넷 사이트에서 동영상을 강화하는 등 최근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신문.방송.인터넷 등 매체.콘텐트의 융합에 대해 “필연적 변화”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경우 뉴욕 타임스나 워싱턴 포스트 같은 유력지들도 인터넷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해스웰 사장은 “이런 흐름은 뉴미디어 분야에서 발전한 기술을 … Continue reading
“보기싫은 광고 안봐도 돼요” 웹2.0 기반 신개념 광고 등장
온라인 광고도 패러다임이 바뀐다. 예전에 it버블과 함께 온라인배너광고 시장도 호황이었지만. 지금은 몇몇 대형포탈들을 빼놓고 온라인배너광고의 시장성이 좋다고 말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 가운데서도 구글의 에드센스는 알게모르게 온라인광고시장을 잠식하고 있었다. 원하는 사람이 자신의 홈피에 갖다 붙이고 클릭한 수만큼 이익을 배당받는 구조로. … Continue reading
태터툴즈와 다음이 만나면?
얼마전에 sk가 이글루스를 인수한다고 했을때 많은 이들이 우려를 했었다. 그 뒤에 나와서 일까? 아니면 인수가 아니라 제휴라는 어감때문일까? 대체적으로 우호적인 입장들이 많은듯 하다. 뚜껑은 열어봐야 아는것이겠지만서두.. 전문블로그를 표방하면서 가입형과 설치형의 양대 산맥이었던 이글루스와 태터툴즈가 대기업과 함께 하게 되었다. 티스토리닷컴 광고를 … Continue reading
씽크프리 미국서 `화려한 부활`
예전 웹2.0세미나에서 인상깊었던 회사중에 하나였다. 웹브라우저상에서 완벽히 구현되는 오피스라… 그게 벌써 6년전에 개발되어서 서비스되고 있었다는게 놀랍다.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예 영업을 안하고 있었단다. 척박한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회사의 현실을 말하고 있는거 같아 안타까웠다. 6년간 힘들게 걸어왔을 그들의 노력에 찬사를 … Continue reading
미서 ‘연구대상’에 뽑힌 한국인 엘리트가족
아이를 잘 기른다는건 말처럼 쉽지 않다. 아이가 달라졌어여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문제가 있는 아이들의 80% 이상은 부모때문이다. 물론 자식을 다 서울대 졸업시키고 하버드,예일대 졸업시키는게 최고다라는 생각에 동조하는건 아니지만 본받을만한 점들이 분명히 있다. “전 여사 부부는 처음부터 집안에 책상 18개를 구해 … Continue reading
무선랜을 공유하라
무선랜이 편리하다는건 다들 알지만.. 어디서나 자유롭게 쓸수가 없다. 네스팟등 통신사가 지원하고 있지만 너무 한정적인데다가 적지않은 돈까지 지불해야 한다. 집안에 무선랜을 설치하는데 5만원정도 들이면 가능하지만.. 집에서만 쓸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이런 각각의 무선랜을 공유해서 쓸수 있다면.. 수천,수만명의 ap들이 생기게 되는거다.. 그것도 … Continue reading
우유 팩 32개로 아기 소파 만들기
우유 팩 32개로 아기 소파 만들기 팩 속에 신문지 넣고 쌓아올리면 예쁘고 푹신한 소파 완성 “아이가 무척 좋아하는 소파 만들기, 어렵지 않아요” 미디어다음 / 김민영 통신원 대개 주부들은 우유 팩을 모아 두었다가 재활용품과 함께 버린다. 하지만 우유 팩도 잘 활용하면 … Continue reading
이동 블로그시대 “제 블로그 방송할래요”
이동 블로그시대 “제 블로그 방송할래요” 애플 팟캐스트 미국서 대히트..국내 상륙 성공할까 김현지 기자 | 11/03 09:05 | 조회 2822 ‘기생충알 김치’ 어디로 공급 [7] 경제보좌관 “대통령은 논리적 [5] 일본·홍콩·대만, 국내 김치 [4] 발코니 동시다발 확장시 붕괴 [3] 은행권 순익1조클럽 4개, …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