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전화’ 월말부터 수신도 가능

‘인터넷 전화’ 월말부터 수신도 가능

통화요금이 유선전화나 이동전화에 비해 훨씬 싼 인터넷전화가 본격 대중화의 길로 들어섰다.

정보통신부는 이르면 10월 말 가입자가 서로 인터넷전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전화에 착신번호 ‘070’을 부여하고 일정 수준의 통화품질을 인정받은 사업자에게 인터넷전화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해 줄 방침이라고 30일 밝혔다.

인터넷전화는 종전의 전화망 대신 인터넷을 통해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인터넷전화 가입자는 실내외 구분 없이 유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지역이면 어디서나 통화가 가능하다.

또 노트북컴퓨터와 개인휴대단말기(PDA) 사용자들이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면 장소에 관계없이 이동 중에도 통화할 수 있다.

인터넷전화 가입자는 또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화상 등 통합 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인터넷전화를 이용하면 시외 및 국제 통화 요금이 대폭 내려갈 전망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인터넷전화 사용자들이 지금의 유선전화 사용자에 비해 통화료를 평균 77.8% 절약할 것으로 추산했다.

또 국제전화는 지역마다 편차가 있지만 인터넷전화 별정통신사업자인 애니유저넷의 분석에 따르면 캐나다의 경우 최대 95%까지 전화료가 저렴하다.

국내에서 인터넷전화가 선보인 것은 2000년 1월 새롬기술의 ‘다이얼패드’가 처음이었다.

그 후 여러 가지의 인터넷전화가 나오고 지난해 말 인터넷전화 가입자가 30만명에 이르렀지만 낮은 통화품질과 통화 단절 등의 현상으로 서비스 확산이 지연됐다.

실제 다이얼패드는 컴퓨터를 이용해 전화를 걸 수만 있었고 걸려오는 전화를 받기 위해서는 유선전화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반쪽’ 서비스였다.

이번에 정통부가 인터넷전화에 직접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착신번호 앞자리인 ‘070’을 부여키로 함으로써 인터넷전화 서비스가 크게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

정위용기자 viyonz@donga.com

Comments

Powered by Facebook Comments

댓글 남기기

당신의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다음의 HTM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