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ync를 이용하는 가장 큰 장점은 변경된 내용만을 미러링하기때문에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
실시간 미러링은 아니기 때문에 크론에 등록해주어야 한다.
테스트서버
소스서버(총선웹서버) : 리눅스버전 2.4.18, rsync버전 2.5.5
백업서버(총선디비서버) : 리눅스버전 2.4.2, rsync버전 2.6.0
1. 소스서버,백업서버 둘다 설치해야 한다.
rpm -qa rsync 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없으면 http://rsync.samba.org/ftp/rsync/ 여기서 최신버전을 다운받아서 설치한다.
# tar xvfz rsync-2.6.0tar.gz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2. 소스서버 셋팅
+ /etc/xinetd.d/rsync 수정
disable = no
+ /etc/rsyncd.conf 파일생성
[www]
path = /home/vote/htdocs
comment = voteserver1
uid = nobody
gid = nobody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211.233.22.186
max connections = 3
timeout 600
## [www] : 백업서버에 rsync 명령시 쓰는 이름임
+ xinetd를 리스타트해준다.
# /etc/rc.d/init.d/xinetd restart
3. 백업서버 셋팅
크론에 등록해준다.
# rsync -avz 211.233.22.187::www /data2/vote_backup/websource/
날짜: 2004-01-05 16:46:58,
조회수: 2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