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etc/inet/netmasks
이 파일은 local 시스템이 속한 네트웍이 subnet 환경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입니다.
시스템이 subnet 환경에 있다면 반드시 이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구성해야 합니다.
이 파일의 내용은 network name과 subnet mask로 이루어 집니다.
만약 local 시스템이 c calss의 network에 속해 있고 4개의 network으로 subnet되어 있다면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cat /etc/netmasks
203.239.145.0 255.255.255.192
7./etc/ethers
이 파일은 주로 network clients를 지원하는 OS Server 시스템에서 구성되어 지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의 내용은 remote 시스템의 MAC Address와 host name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at /etc/ethers
08:00:20:5c:30:e3 minerva
08:00:20:1:30:15 fayoum
08:00:20:1:40:7 sahara
이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host name에 대한 IP Address는 반드시 /etc/hosts 파일에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8./etc/bootparams
이 파일 역시 network clients를 지원하는 OS Server 시스템에서 구성되어 지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network client 에 의해서 사용되어 질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입니다.
파일의 내용은 client 시스템의 이름 및 clietn 시스템이 사용할 swap과 root의 영역,즉
machine-name file-key-server-name:/pathname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만약 local 시스템의 이름이 hera이고 이 시스템이diskless client 인sahara에 대한 Server라고
한다면 이 파일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 질 것입니다.
#cat /etc/bootparams
sahara root=hera:/export/root/sahara
swap=hera:/export/swap/sahara dump=hera : /export/sahara
지원해야 하는 client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wildcard를 사용할 수 있다.
* root=serveranme:/path
9./etc/inet/networks
이 파일은 network name과 network number를 맵핑하는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파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cat /etc/inet/networks
networkopen 203.239.145 #This is our company network.
이 파일이 가지고 있는 정보는 특히 netstat comman에 의해서 참조되어 진다.
network number대신 network name을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명령어에서 이용한다.
10./etc/services
이 파일은 TCP와 UDP services와 well known port number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이 파일에 있는 내용은 network service를 요청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사용되어 지고 인스톨시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파일이며 관리자가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없는 파일이다
각종 소프트웨어들이 인스톨되어지면서 자동으로 update가 일어날 수도 있다.
#cat /etc/services
ftp-data 20/tcp
ftp 21/tcp
telnet 23/tcp
time 37/tcp
name 42/udp
11./etc/inet/protocols
시스템에 인스톨되어 있는 TCP/IP protocols과 protocol numbers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 역시 인스톨시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파일입니다.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ip 0 IP # internet protocol, pseudo protocol numbericmp
icmp 1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tcp 6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 17 UDP # user datagram protocol
12. /etc/nsswitch.conf
이 파일은 network databases에 대한 검색 순서를 규정하고 있는 파일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 사용자가 network command의 argument로 remote system의 IP Address를
사용하지 않고 host name을 사용할 경우 network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host name을 IP
Address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 파일 entry의 하나인 hosts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면
hosts: files nis dns
host name을 IP Address로 바꾸기 위하여 /etc/hosts file을 참조하고 이 파일에 remote
system에 대한 내용이 없다면 nis map file을 참조하고 map file에도 없다면 dns server에 질의
하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이 파일은 OS 인스톨시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파일이고 인스톨이후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수정
되어 질 수 있다.
시스템이 host name을 IP Address로 바꾸기 위하여 local file만을 참조할 경우에는
/etc/nsswitch.conf file의 hosts엔트리를 다음처럼 수정하면 된다.
hosts : files
OS를 인스톨하면 /etc/nsswitch.conf file의 템플리트로 사용할 수 있는 파일로 /etc 디렉토리에
다음과 같은 파일도 자동으로 설치되어 진다.
/etc/nsswitch.files : 이 파일은 local /etc아래의 file들만을 참조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을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etc/nsswitch.nis : 이 파일은 nis의 map을 참조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을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etc/nsswitch.nisplus : 이 파일은 nis+ table을 참조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을 가지고
있다.
네트웍 환경이 nis로 바뀌어졌다면 시스템관리자는 /etc/nsswitch.nis 파일을 이용하여
/etc/nsswitch.conf의 내용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cp /etc/nsswitch.nis /etc/nsswitch.conf
다음은 Name Service로 local file을 사용할 경우의 /etc/nsswitch.conf 파일의 내용이다.
#cat /etc/nsswitch.conf
passwd: files
group: files
hosts: files
networks: files
protocols: files
rpc: files
ethers: files
netmasks: files
bootparams: files
publickey: files
NIS를 실행하고 있는 시스템의 /etc/nsswitch.conf file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hosts: nis [NOTFOUND=return] files
networks: nis [NOTFOUND=return] files
rpc: nis [NOTFOUND=return] files이하 생략
http://www.unixbrain.co.kr 에서 발췌
날짜: 2003-07-04 14:20:56,
조회수: 2602 |